골판지 (골板紙.Corrugated Fi-berboard)란 파상의 구조역학적 강성과 완충작용을 하는 골 (Flute)을 성형한 골심지의 표면 또는 양면에 라이너 원지를 첨합한 것을 말하며 주로 골판지 상자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 재료로서 지제품 (Paper & Paperborad rouducts)에 해당 된다.
골판지는 최종제품인 골판지 상자의 수요자 요구수치 길이 x 폭 x 높이 강도에 적합한 폭 및 강도를 갖춘 라이너(Laner Board)와 골심지(Me-dium or Fluting Paper)를 선택 배합하여 골 판지 필요 물성이 충족 되도록 제조 하여야 한다.
골판지 필요물성은 다음과 같다. 골판지의 물성-- * 소재적 물성 (파열강도)
* 가공적 물성 (Puncture 강도)(평면 압축강도)(수직 압축강도)(접착강도)
골판지의 특징은 골을 성형한 구조체인 점이며 이골 홈은 Flute라고 부르고 있다. 이 Flute의 어원은 골판지의 골,주름이 고대유럽 왕궁의 시녀 의상의 둥근홈 주름이 있는 것과 같아서 이렇게 명명 되었다는 설과 골판지의 골이 미닫이문의 홈판 골과 같아서 이렇게 불렀다는 양설이 있다.
우리 나라는 [단보루] [골보드] [파이퍼보드] 등로 불리어 오다가 1963년 12월 12일 사단법인 한국 골판지 포장 공업 협동 협회의 창립총회에서 골심지의 주름, 골을 친후 라이너 원지를 붙이면 골이 성형된 파상의 골판지가 되는바, 이때 주름친 파상부분의 국제 통용어인 Flute는 [단]이 아니라 [골(홈)]임으로 순수한 우리 나라 말에 상당한 [골이 쳐진 판지] 즉 [골판지]가 타당 하다고 결의, 정식으로 명명 하였으며 1964 년 10월 7일 상공부 공고 제 1164호 외부포장용 골판지가 KS A 1502로 제정되어 우리나라 공업표준용어로 공인되기에 이르렀다.
골판지의 발상은 1856년에 영국 Edward Chares Healey와 Edward Ellis Allen 양씨가 종이에 골을 쳐서 특허를 얻은후 모자의 땀받이로 사용한 것이 그 시초가 되며 포장용재로 처음 사용된 것은 1871년에 미국 Albert L.Jones가 골친 종이를 특허받아 물 약병포장등 완충재로 쓰인 것이 그효시를 이룬다.
편면 골판지의 출현은 1874년 미국 Oliver Long이 골친 종이에 Liner원지를 부쳐 특허를 받은 것이 처음이며 양면 골판지의 기계적 제조는 1895년대로 기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골판지 공장이 처음 세워진 것은 1939년에 서울 영등포의 전 한국판지공업공사 자리에 조선 판지 주식회사를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으로 처음 골판지공장을 설립한 것은 1953년 신흥제지 공업주식회사 사장 허균씨의 전 서울 오류동공장 이다. 그후 한국판지 한응씨 공화지기의 김정헌씨 오성제지의 오규원씨 한국수출포장의 허석락씨가 잇달아 골판지 포장공업을 기업화 하기에 이르렀다.
골판지의 기본적 구조는 골을 성형한 골심지와 라이너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주조역학적으로 대단히 강하 면서도 완충을 갖는 특성이 있다. 골(Flute)은 골판지 의 모체로서 골의 형태에 따라 U자형, V자형, UV자형 등이 있다.
- 골의 수별 종류
-
골의 종류 30cm당 골의 수 골의 높이 A 골 A F 34 +- 2 4.6--4.8mm B 골 B F 50 +- 2 2.5--2.7mm C 골 C F 40 +- 2 3.5--3.7mm E 골 E F 93 +- 4 1.1--1.4mm
U 자형 골의 형상에 평면 압력을 주었을때 강성한계 내의 복귀성이 강하다. 접착제가 많이 든다. 골롤의 손모가 적다. 골심지의 소요량이 많다.
V 자형 u 자형의 반대 개념
UV자형 u 자형과 v 자형의 중간
파상골판지 종이에 파상의 골을 성형한것(완충제)
편면골판지 파상의 골을 성형한 골심지의 한쪽에 Liner를 첩합한 것(주로 와충제)
양면골판지 편면골판지의 맞은 편에 Liner를 첩합(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포장상자 용재)
이중양면 골판지 양면골판지의 한쪽에 면을 밖으로 한 편면 골판지를 첩합한 것
삼중 골판지 양면골판지의 한쪽에 면을 밖으로 한 편면 골판지를 첩합한 것
외장용 골판지 주로 외부포장용 수송포장
내장용 골판지 주로 내부 포장용 또는 개장용
1. 골판지는 : 주로 골판지상자를 제조 하거나 포장 완충제인 PAD,칸막이,동윤곽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골판지가 갖는 본질적인 특성을 잘 이해하지 않으면 좋은 골판지 포장이 될수 없다.그러므로 골판지 포장 생산자나 사용자 를 막론하고 골판지의 기본적 물성을 알아 두는 것이 중요하다.
골판지의 대표적인 물성은 1)수분 2) 파열강도 3)천공 충격강도 4)평면 압축강도 5)수직 압축강도 6)Edge Crush강도 7)접착강도 등이다.
- 2. 골판지 수분 (Moisture)
- (1) 수분은 정확히 말하며 골판지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임으로 엄밀한 의미로서는 물성이라고 할수 없으나 골판지 의 함수율에 영향을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 (2) 골판지는 그 놓여진 위치 상태에 따라서 수분의 흡.배습을 행하며 환경표준 상태에 있어서의 골판지 수분은 대략 9 ~ 10% 정도 이다.
- (3) 수분의 많고 적음은 파열강도등 모든 강도에 직접 커다란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됨으로 각종 골판지 물성을 측정 할때에는 반드시 함수율을 측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 (4) 수분의 측정단위는 [%] 이다.
- 3. 파열강도 (Bursting Strength)
- (1) 골판지의 파열강도는 골판지 포장의 품질을 평가하는 주요 척도로서 세계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 (2) 파열강도란 골판지의 일부분에 하중이 실리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하여 골판지가 서서히 늘어나 어느 한계에 도달 하면 골판지가 파열되는 현상이 일어 나게 된다.이러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말하는 것으로 이때 파열할때 가해진 힘이 1㎠당 몇 kg인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 (3) 파열강도의 측정단위는 [ kgf/㎠ ] 이다.
- (4) 골판지의 파열강도 시험은 KS M 7082(종이 및 판지의 고압 파열강도 시험)에 의하여 행하여 지며 골판지는 구조체 임으로 그 파열강도는 사용하는 원지 특히 라이너 원지에 의하여 좌우 된다.
- 4. 충격 천공강도 (Puncture Strength)
- (1) 충격 천공강도 즉 puncture strength는 일정한 형상,치수를 가진 직각 삼각추가 골판지를 관통하는데 필요한 [일량] 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 시험방법은 G.E.Beach가 발명 하였으며 세계 일부 국가들이 파열강도와 같이 중시 하고 있다.
- (2) 골판지 파열강도는 골심지의 파상구조를 파괴함이 없이 측정할수 있음으로 골판지의 [참(眞)강도]를 측정 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파열강도는 정적 시헌으로서 실제의 수송에 있어서의 강도와 상관성이 적음에 반하여 Puncture 강도는 동적인 시험으로서 양자는 근본적으로 그 목적이 다르다.
- (3)Puncture 강도는 그측정 정밀도가 높으며 골판지 제조기의 성능,접착제의 양부, 파형 골의정, 부정및 골판지 제조기술의 차에 따라 측정치가 크게 변화된다.
- 5. 평면 압축강도 (Flat Crush Strength)
- (1) 평면 압축강도는 [프랫트 크러쉬] 강도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골판지가 감각적으로 강경한가 유연한가를 표현하는 강도 로서 대단히 중요한 물성의 하나이다.
- (2) 시험 방법은 KS M 7063 (골판지 압축강도 시험방법) 규정에 따르며 골판지를 직경 64mm 의 원형으로 자르고 그 면적은 32.25㎠로 하여 골판지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압축력을 가하여 평면압축 강도를 측정한다.
- (3) 시험편의 골이 압축 파괴될 때의 최대값을 구하여 시험편의 표면적으로 나눈 값(kgf/㎠)을 평면 압축강도로 한다.
- (4) 일반적으로 골판지의 평면 압축강도의 약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가) 골심지 자체가 본질적으로 약한 경우 나) 골판지의 함수분이 많은 경우 다) 골의 성형이 불량인 경우 라) 골이 어떤 요인으로 찌부러진 경우
- 6. 수직 압축강도 (Edge Crush.End Crush.Column Crush Strength)
- (1) 수직 압축강도는 Edge Crush.End Crush.Column Crush Strength 강도 등으로 불리우며 시험편의 치수나 형상등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요는 골판지를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압축을 견디는 힘을 말하는 것으로서 골판지 상자의 압축강도에 기본이 되는 중요물성의 하나이다.
- (2) 시험방법은 KS M 7063(골판지의 압축 강도 시험방법)의 규정에 따르며 강도의 측정 단위는 kgf 이다.
- * 상자는 직각육면체 이므로 그 압축강도의 측정방향은 그리처럼 天對地面, 對陵, 對角등의 방향을 생각할 수 있으나 실용상으로 필요한 천대지면의 압강을 측정한다.
그리고 그 측정방법은 두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한가지는 실지로 상자의 내부에 내용물을 포장한 다음, 다음의 공식으로 산출된 하중을 가한후 즉시 압력을 제거하고 나서 내용물의 상태를 관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때에 가할 압력은 다음의 산출식에 따른다.
- F = K×(H-h)/h×W
- F = 하중(N) [Kgf]
- K = 유통기간에 따른 계수로 유통기간이 1개월 이내면 2.0, 1~3개월이면 2.2, 3~6개월이면 2.5, 6개월 이상이면 3.0을 적용한다.
- H = 유통시 최대로 적재한 높이(㎝) h = 시료(상자)의 높이(㎝) W = 시료의 총 질량(kg)
- 한가지 예로서 상자의 높이 h=30㎝, 최대높이 H=300㎝, 포장물과 포장상자의 질량 W=30kg이며, 유통기간 k를 2개월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때의 압축강도 상자 가압력은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 F = K×(H-h)/h×W = 2.2×(300-30)/30×30 = 594Kg
- 다시말하면 상자 속에 포장물을 넣고 594Kg을 가압한후 해체하여 내용물의 변형이 없다면 이 정도의 상자는 30Kg×10단 적제로 2개월은 유통할 수 있는 안전한 내 압력을 갖추고 있다고 본다.
- 7. 골판지 접착 강도 (Pin Adhesive Strength)
- (1) 골판지의 접착 강도는 골판지를 구조체로서 지탱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라이너지와 골심지를 연결하여 주는 대단히 중요한 역활을 하는 것이다.
- (2) 골판지에 있어서의 접착이 일반 접착과 다른점은 반듯이 접착 강도가 강할수록 좋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즉 전술한 골판지의 중요물선중 충격 천공강도,평면 압축 강도 및 수직 압축강도는 어느 것이나 골판지의 두께에 따라 많은 영향 을 받는 것임으로 접착강도와 반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골판지의 골판지의 접착강도는 사용하는 라이너와 골심지를 필요최소 한도의 범위로 Control하여 접착을 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더 중요하다.
- (3) 시험방법은 KS M 7052 (골판지의 접착력 시험방법)의 규정에 따르며 원리적으로는 골판지의 골사이에 강제의 핀을 꼽아 박리 할때의 그 저항성을 시험하는 것이므로 Pin hesive Test 라고 한다.
- (4) 골판지의 접착강도는 최저 어느 정도 이상이면 되는가가 문제인데 오늘날의 물류실태에서 생각하면 편측용(片側用.A Flute,5x 8.5cm)에서 18kgf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 시험법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너원지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라이너의 강성이 강함으로 접착강도는 강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 (5) 일반적으로 골판지의 접착 강도상 결함이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가) 접착제 자체의 결함이 있는 경우 나) 제호상의 miss로 호액의 점도가 불안정한 경우 다) 제호시의 miss에 의하여 목적한 품질의 풀이 안된 경우 라) 여름철의 고온,고습으로 풀이 부패되어 점도가 내려 간 경우 마) 라이너 또는 골심지의 함수분에 기인하는 경우 바) 풀의 사용량이 과소인 경우 사) 첩합 speed 의 변화에 알맞는 호량의 Control에 miss가 있는 경우
외부 포장용 | SW 골판지 상자, DW 골판지 상자 |
---|---|
내부 포장용 | SW 골판지 상자, DW 골판지 상자 |
단위 포장용 | SW , E골 골판지 상자 |
- 컷팅다이
- 골판지의 구멍을 뚫는데 쓰는 형으로 평판및 만곡(활모양으로 굽음)의 합판 또는 강판에 절단,칼로 괘선을 낸 것
- 접합재
- 골판지 상지의제조에 쓰는 접합재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1) 접합용 접착제
- 골판지용 접착제에는 규산소다,전분,초산비닐,합성수지계등의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전분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전분은 식물중의 영록소가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지중에서 흡수한 물을 태양빛으로 광합시켜 만든 이것이 주간에는 식물의 엽록소가 많은 잎의 가까운 곳에 두었다가 야간에는 가수 분해를 이르키어 뿌리나 종자부분에 이동 저장된다.
- 2) 접합용 평철사
- 골판지 상자의 제조에 쓰는 접합제로서 주로 아연 구리 도금을 하여 녹방지를 한동선이 있다.
- 3) 접합용테이프
- 골판지 상자의 제조의 쓰이는 접합체로 주로 종이,천,테이프,기타 봉합용 테이프도 있다.
- 패드
- 상자 내부의 상품을 안정 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며 주로 평판상태의 것을 말한다.
- 간막이 (사절)
- 상자 내부의 상품을 몇 개로 분할해서지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며 주로 평판 상태의 것을 말한다.
- 스코어
- 골판지의 골에 직각으로 넣은 괘선
- 슬릿트
- 골판지의 골을 직각 또는 평행으로 자르는 것
- 슬롯트
- A형 상자, C형 상자등의 날개사이를 잘라내는 것
- 인쇄 잉크
-
- 1) 유성 잉크
- 모든 잉크는 색상을 가진 안료와 이것을 섞어 분산 시켜 준는 용액으로 된다.이때 vehicle을 아마인유(Iinseed Oil)로 한 것이 대표적인 유성잉크의 대표격이다. 이 아마인유는 공기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산화되어야만 굳어지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다르지만 겨울에는 7~8시간의 건조가 필요하고 여름철이라 해도 3~4시간이 필요하다.
- 2) 속 건성잉크
- 아마인유처럼 건조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아마인유 대신에 glycol 과 마레인산 수지를 약 alkali로 용해 하여 이것을 vehicle로 한 것이다. 유성 잉크에 비하면 빠른 편이어서 30~40분 정도면 건조 되나 요즘은 대량작업에 부적합하다.
- 3) Flexo graphic ink
- 이것은 alkali물을 vehicle 로 사용한 것이어서 때로는 수성잉크라고도 부른다. alkali가 원지중의 약산과 중화되어 버리면 물에 녹지 않는 것으로 변하면서 굳어져 버린다.그래서 건조가 빠를 뿐 아니라 alkali가 있는 상태에서 물로 세척하기도 쉽다. 건조 속도는 몇초 이내가 되어 보통 200m 분속의 연속작업이 가능하다. 플렉소 잉크는 점도도 낮고 묽어 유동성이 좋다. 그래서 프린터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되고 남은 잉크는 밑으로 흘러나와 순환펌프로 연속공급이 가능하다. 또 요즘 로트가 적은 인쇄시에도 잉크롤 세척을 물로 간단히 할 수 있어 앞으로 모두 플렉소 인쇄만 쓰일 것이다.
- 인판
- 골판지 인쇄용 인판에는 gum판,합성수지판 등이 이용된다. 고무판은 사람의 손으로 조각해야 되기 때문에 정밀한 인쇄도안은 조각하기 어렵다. 또 요즘처럼 기계가 대형화 됨에 따라서 인판이 크게 되어 이의 취급이 어렵고 쉽게 마모되어 오랫동안 사용하기 힘들다. 합성수지판은 polyester film층에 감광성 photo polymer을 붙인 것으로 이곳에 자외선을 비추어 주면 감광된 부분만 중합되어 ttichlor ethane 에 녹지 않게 된다. 그래서 trichloro-ethene 세제로 세척하면 깨끗한 인판을 얻을 수 있어 정밀한 인판이 된다. 이 방법은 1959년 Dupont 사가 개발한 방법이나 이것이 실용화 된 것은 1974년 미국이 처음이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합성수지 인판이다.
- 골판지 상자의 와프
- 골판지 상자의 작업에 있어서 최대의 숙적은 와프인데 와프란 원단이 여러 가지 모형으로 구부러져평평하지 않은 현상을 말한다. 원단이 평평하지 않으면 골판지기에서 제조된 것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하여 다음의 공정에 공급할 수 없고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어 작업상 제일의 난제가 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골판지기의 카터에서 나오는 골판지가 와프상이라면 원단수취기가 있다 하여도 와프 시정상 순차적으로 수취하지 못하고 몇 매씩을 기준하여 교대로 뒤집어 쌓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
- (1) Heating Box와 Warp
- 열판의 내면은 Steam으로 가열되는 반면 표면은 골판지로 열을 빼앗겨 온도가 떨어진다. 그래서 열판은 골판지 쪽으로 수축되어 변형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 변형의 양은 온도가 높은 열판부에서 심하고 끝부분에서 적게 된다. 이런 속에서 건조된 Sheet는 건조 과정에서 Normal Warp의 발생을 촉진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5mm이하의 특수합금으로 소형 Heating Box로 대체하는 경향이 있다.열판의 온도가 높을수록 열판이 점선과 같이 변형되어 Warp를 발생시킨다.그리고 매년 한번정도 열판의 Level도 체크해야 한다. 대체로 열판의 Level을 설치 할 때는 3/100mm 정도가 유지된다.
- (2) 수분과 Warp
- 와프는 원인에는 원지의 수분, 접착제의 접착성격, 지필의 인장력, 작업속도, 평량, 골의 형별등의 여러 가지가 원이이 되겠지만 주도적인 인자는 원지의 수분차와 지필의 장력관계로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Machine Direction와프는 원지의 종방향장력이 주요인이 된다. 그리고 CD Warp와 S-와프는 횡방향으로 라이너의 지합이 수분이 불균일 할 때 발생한다.
- (3) 와프 시정법
- 와프의 발생원인은 주로 상하 라이너의 불균일한 수분과 그 인장력이란 간단한 원인에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시정하는데 간단하지 않고 대단히 복잡하다. 라이너는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되면 수축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서로 다른 2종의 라이너를 겹쳐서 열판상에서 건조한다면 상하라이너의 건조상태가 동일할 수 없고 그러므로 와프가 발생해야 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또 열과 수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데 열에 의한 축현상은 장망식의 라이너보다 환방식의 라이너가 더욱 심하다.
- 다음은 와프형 별로 발생원인과 시정방법을 적어둔다.
-
- 1) 횡방 정상 와프
- 상하라이너를 겹쳐서 열판에서 건조하게 되면 DFL의 수분과 호액중의 수분이 상향 증발하여 SFL의 수분이 많게 된다. 따라서 SFL의 수분이 많거나 동일한 때는 정상 와프의 발생가능성이 많다.
- ① 될 수 있으면 작업속도를 올리고
- ② 편면기에 들어가기 전에 예열기에서 충분히 건조 되도록 접촉면을 많게 한다.
- ③ DFL의 건조를 약하게 하거나 예열드럼을 사용하지 않는다.
- ④ 골심지의 가습을 중지하고
- ⑤ 편면 골판지의 가열드럼을 전부 이용하며
- ⑥ 오버브릿지상의 편면골판지 퇴적량을 줄일 것 등이다. 그래도 시정이 불가할때는 편면기에서의 풀량이 많지 않은지 조사하되 양면호부기의 풀량을 증량하지 말라는 것이다.
- 2) 횡방향 와프 이것은 DFL의 수분이 많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 ① 열판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 ② 밸러스트롤을 전부 이용하여 켄버스를 눌러주고
- ③ DFL용 예열기를 충분히 활용하며
- ④ SFL용 예열기는 가급적 적게 활용할 것이며
- ⑤ 골심지에 많은 가습을 할 것 등이다
- 그래도 시정 불가능하면 양면호부기에서의 풀량을 줄인다.
- 3) MD 정상 와프
- 원지의 주행방향상의 인장력 불균일에서 발생하는 확률이 많다. 이것을 시정시키기 위해서는
- ① 편면기에서 작업할 때 라이너의 인장력을 강하게 하고
- ② 편면 골판지의 장력을 적게하며
- ③ 밀롤 스탠드의 브레이크 상태를 체크하고
- ④ 밀롤의 진원도를 유지시킬 것이며
- ⑤ 예열기 등의 가열상태를 체크해야한다. 예열기의 충분한 가열이 없으면 마찰 때문에 통과원지에 상당한 장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 4) MD 반대 와프
- ① DFL의 인장력을 약하게 하고
- ② 편면 골판지의 장력을 강하게 하며
- ③ 열판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할 것 등이다.
- 그래도 시정되지 않으면 각 열판이 충분한 열을 받고 있는지 체크해야 한다. 열판상에서는 골판지가 쉽게 미끄러지거나 냉판상에서는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마찰이 발생하여 DFL의 장력을 크게 한다.
- 5) 대각 와프
- 지폭 방향으로 불균일한 장력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곳을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
- ① 밀롤스탠드가 수평상태가 아닌지
- ② 예열기의 포각레벨이 불량한지
- ③ 밀롤과 예열기 등의 간격 거리가 전후 부동인지
- ④ 오버브리지의 수평 상태가 정확한지
- ⑤ 폴롤의 수평상태
- ⑥ 폴롤상의 라이더롤 수평상태는 양호한지
- ⑦ 상부 캔버스의 불균형 구동은 없는지
- ⑧ 밀롤의 권취상태 불량등을 조사 시정해야 한다.
- 6) S 와프
- 골심지나 라이너 폭방향으로 불균일한 수분을 가질 때 또는 풀이 폭방향으로 불균일하게 전이 될 때나 열판의 전도가 폭방향으로 부균일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다음의 사항을 체크해야 한다.
- ① 골심지나 라이너가 종방으로 수분이 불균일한지
- ② 양단(밀롤)의 수분이 많은지
- ③ 예열 드럼에서 열을 받지 못하여 종이의 양단이 늘어져 있는지
- ④ 호부기에서 풀롤과 독타롤 간격이 비평행상인지
- ⑤ 독타롤의 독타 취부상태는 양호한지
- ⑥ 풀롤의 표면이 더렵혀졌거나 손상되어 있는지 등을 체크해서 시정해야 한다.
- 기계 및 장치
-
- 코루게이터
- 편면부와 양면기부 건조기 및 커터를 가진 일련의 골판지 제조설비
- 편면기
- 예열부,전처리장치,코루게이션부,호부기를 갖고 가열,가압에 따라 편면 골판지를 제조하는 장치
- 원지걸이
- 골판지 원지를 거는 장치
- 예열기
- 라이너 및 편면골판지의 편면을 연속적으로 예열하는 장치
- 전처리 장치
- 골심지의 두루마리 흠을 수정하여 바른 골이 형성 되도록 열과 수증기를 주어 조정하는 장치를 말한다.
- 롤 로울
- 골심지에 골을 만드는 로울로 상단로울과 하단 로울이 있다.
- 코루게이팅 벨트
- 가열부 및 냉각부에 사용하는 벨트
- 슬릿터 스코어러
- 골판지를 절단하고 괘선을 넣는 장치 또는 기계
- 컷터
- 골판지의 진행방향에서 직각으로 재단하는 장치
- 스태커
- 골판지를 겹쳐 쌓는 장치
- 인쇄기
- 골판지에 인쇄하는 기계
- 다이커터
- 골판지를 소정의 형태로 따내는 기계
- 글루어
- 접합용 접착제로 접합하는 기계
- 플랙소*홀더 글루어
- 플랙소 잉크를 사용하고 프린터 슬롯터와 글루어 기능을 갖춘 기계